10억 만들려면, 내집마련에 미쳐라!
2007-03-12
10억을 만들고 싶은가? 요즘 10억만들기가 유행하고 있다. 어딜 가나 10억만들기 열풍이다. 하지만 막연하게 말로만 10억만들기를 부르짖는 분들이 의외로 많은것을 본다.
▶10억만들기의 첫걸음은 내집마련부터
일단, 10억만들기의 첫걸음은 내집마련부터 하는것이 우선이고, 내집마련을 하고나서야 비로서 10억원도 보이는 법이다. 주식이나 적금, 적립식 펀드 투자는 내집마련을 위한 종자돈 마련을 위한 방편으로 주로 투자되어야하는것이지, 내집마련이 안된 상태에서 이들 투자처에 올인, 혹은 소위 몰빵하는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내집마련이 안된 상태로 주식에 투자했다 전재산을 날리는 경우, 재기하는것이 쉽지 않다. 사업가들이 주택만큼은 부인명의로 돌려놓는 경우가 많은데, 다 이런 이유때문이다.
▶내집마련 안된채로 10억만들기, "허공의 바람잡는격" 될수 있어
만일의 경우 내집만큼은 지켜서 나중에 재기하는데 발판을 삼으려 하는 최소한의 방어적 수단이기때문이다. 다시말해 가장 중요한 자산수단으로서의 내집마련에 결함이 생기면, 재테크 전체적인 시스템에 오작동이 나기 십상이며, 이는 결국 허공의 바람잡는격이 될 가능성이 높기때문이다.
최근 유력 일간지(조선일보 2007.3.7)에 의하면 부동산을 소유한 가구가 부동산을 소유하지 않은 가구보다 순자산 평균 금액이 10배 이상에 달하는 등 부동산의 보유 여부에 따라 자산격차가 크게 벌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주택) 보유한자와 미보유자의 자산격차 10배나 벌어져
또한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06년 가계자산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5월 31일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가구당 평균 총자산은 2억8112만원이었다.
이 가운데 주택, 토지, 건물 등 부동산이 2억1604만원을 차지했으며 저축, 보험, 전·월세보증금 등 금융자산(저축총액)이 5745만원, 자동차, 회원권 등 기타자산이 764만원이었다.
필자가 이 말을 하는 이유는, 부동산을 소유한 가구의 평균 총자산은 3억7497만원으로 부동산을 갖고 있지 않은 가구의 평균 총자산 4062만원에 비해 무려 10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사실때문이다.
▶20대부터 내집마련에 관심 기울여야 30대 재테크에 크게 도움돼
부동산 소유 가구는 부채를 제외한 평균 순자산에서도 3억2367만원으로 미소유 가구의 평균 순자산 3143만원에 비해 10.3배나 많아 큰 자산격차를 보였는데, 우리나라에서 10억을 빨리 모으려면 내집마련과 함께 부동산투자를 병행하지 않고서는 결코 일반 샐러리맨들이 10억이라는 금액을 만들기가 쉽지 않다는 점을 말해준다.
20대부터 내집마련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10억 만든 사람들 중 아파트와 부동산을 거치지 않고 주식이나 은행에만 들락거리는 분들이 10억 목표달성을 이룬경우는 매우 드물다.
즉 일반 서민들이나 샐러리 맞벌이 부부들이 30대에 내집마련이 안되면 10억모으기는 멀어질수 밖에 없는것이다.
10억만들기를 위해서는 반드시 부동산 재테크에 대한 관심의 비중을 최하 50%이상은 놓지 말아야 한다.
출처 : 닥터아파트 전문가칼럼
▶10억만들기의 첫걸음은 내집마련부터
일단, 10억만들기의 첫걸음은 내집마련부터 하는것이 우선이고, 내집마련을 하고나서야 비로서 10억원도 보이는 법이다. 주식이나 적금, 적립식 펀드 투자는 내집마련을 위한 종자돈 마련을 위한 방편으로 주로 투자되어야하는것이지, 내집마련이 안된 상태에서 이들 투자처에 올인, 혹은 소위 몰빵하는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내집마련이 안된 상태로 주식에 투자했다 전재산을 날리는 경우, 재기하는것이 쉽지 않다. 사업가들이 주택만큼은 부인명의로 돌려놓는 경우가 많은데, 다 이런 이유때문이다.
▶내집마련 안된채로 10억만들기, "허공의 바람잡는격" 될수 있어
만일의 경우 내집만큼은 지켜서 나중에 재기하는데 발판을 삼으려 하는 최소한의 방어적 수단이기때문이다. 다시말해 가장 중요한 자산수단으로서의 내집마련에 결함이 생기면, 재테크 전체적인 시스템에 오작동이 나기 십상이며, 이는 결국 허공의 바람잡는격이 될 가능성이 높기때문이다.
최근 유력 일간지(조선일보 2007.3.7)에 의하면 부동산을 소유한 가구가 부동산을 소유하지 않은 가구보다 순자산 평균 금액이 10배 이상에 달하는 등 부동산의 보유 여부에 따라 자산격차가 크게 벌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주택) 보유한자와 미보유자의 자산격차 10배나 벌어져
또한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06년 가계자산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5월 31일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가구당 평균 총자산은 2억8112만원이었다.
이 가운데 주택, 토지, 건물 등 부동산이 2억1604만원을 차지했으며 저축, 보험, 전·월세보증금 등 금융자산(저축총액)이 5745만원, 자동차, 회원권 등 기타자산이 764만원이었다.
필자가 이 말을 하는 이유는, 부동산을 소유한 가구의 평균 총자산은 3억7497만원으로 부동산을 갖고 있지 않은 가구의 평균 총자산 4062만원에 비해 무려 10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사실때문이다.
▶20대부터 내집마련에 관심 기울여야 30대 재테크에 크게 도움돼
부동산 소유 가구는 부채를 제외한 평균 순자산에서도 3억2367만원으로 미소유 가구의 평균 순자산 3143만원에 비해 10.3배나 많아 큰 자산격차를 보였는데, 우리나라에서 10억을 빨리 모으려면 내집마련과 함께 부동산투자를 병행하지 않고서는 결코 일반 샐러리맨들이 10억이라는 금액을 만들기가 쉽지 않다는 점을 말해준다.
20대부터 내집마련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10억 만든 사람들 중 아파트와 부동산을 거치지 않고 주식이나 은행에만 들락거리는 분들이 10억 목표달성을 이룬경우는 매우 드물다.
즉 일반 서민들이나 샐러리 맞벌이 부부들이 30대에 내집마련이 안되면 10억모으기는 멀어질수 밖에 없는것이다.
10억만들기를 위해서는 반드시 부동산 재테크에 대한 관심의 비중을 최하 50%이상은 놓지 말아야 한다.
출처 : 닥터아파트 전문가칼럼
출처 : 내부동산
글쓴이 : 소망 원글보기
메모 :
'재테크 관련정보 > 내집마련 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도식, 계단식 아파트의 장단점 비교 (0) | 2015.04.12 |
---|---|
아파트 구매 고려사항 : 집방향 (0) | 2015.04.12 |
`내 집 마련시 절대 하지 말아야 할 5가지 행동` (0) | 2006.10.09 |
[스크랩] [내집 마련 가이드] 맞벌이 신혼부분데 5년후 집장만 될까요? (0) | 2006.09.29 |
[스크랩] 내집마련10계명 (0) | 2006.09.29 |